新JLPT란?
新JLPT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전 세계의 수험자를 대상으로 한 국제 공인 시험으로, 기존 JLPT 시험의 출제기준과 유형을 개정하여 2010년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新일본어능력시험(新JLPT)을 말합니다. 일본어 시험강좌에 등록하시는 모든 수강생에게는 2010년 새롭게 개정되는 JLPT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전 세계 최초로 담은 <新 JLPT 공략법>을 드립니다.
新JLPT 새롭게 개정된 사항
과제 수행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측정
일본어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과 함께 실제로 운용할 수 있는 일본어 능력을 중시합니다. 따라서 문자, 어휘, 문법 등과 같은 언어지식과 더불어, 그 언어지식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상의 과제 수행 능력을 측정합니다. 수험자가 자신이 취득한 급수에 비례하는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겸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정되었습니다.
레벨을 4단계에서 5단계로 수정
新시험에서는 레벨을 현행 시험 4단계 (1급~4급)에서 5단계 (N1~N5)로 증설하였고, 新시험과의 비교레벨은 아래와 같습니다. 크게 변경된 사항은 기존 시험의 2급과 3급 사이에 N3라는 레벨을 신설한 것입니다.
N1 | 기존 시험 1급보다 약간 높은 레벨, 합격기준은 기존 시험과 거의 같음 |
N2 | 기존 시험 2급과 거의 같은 레벨 |
N3 | 기존 시험 2급과 3급 사이의 레벨(신설) |
N4 | 기존 시험 3급과 거의 같은 레벨 |
N5 | 기존 시험 4급과 거의 같은 레벨 |
상대평가제 도입
新시험에서는 상대평가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성적 산출 시 난이도를 반영합니다. 따라서 정답수가 같더라도 시행시기에 따라 시험간의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
Can-do 리스트 제공
新시험에서는 각 레벨의 합격자가 일본어를 사용하여 실제로 어떠한 언어 운용 능력을 가지고 있는 지에 관하여, 코멘트 형식의 [일본어 능력시험 Can-do 리스트(가칭)]을 제공합니다. 이 리시트에는 합격자의 일본어 능력을 <듣기, 읽기, 쓰기, 말하기>의 4영역으로 나누어 영역별 운용 능력에 대한 평가가 기술되어 있습니다.
그 밖의 변경 사항
-시험시간 단축(新JLPT 문제 구성 및 평가기준 참조)
-과락제도의 도입(과목별 최저 기준점수 2010년 발표 예정)
-과목구분 변경 (변경 전:<문자/어휘>,<청해>,<문법/독해>)=>변경 후:<언어지식(문자/어휘/문법)>,<독해>,<청해>)
-새로운 시험 문제 구성(문장조합 유형, 종합이해, 비교분석 문제, 정보 검색, 즉시 응답 문제 등을 도입)
기존 시험(1984~2009년) | 新 시험(2010년~) | |
실시회수 | 년 1회 | 년 2회 |
급수/레벨 | 1급~4급(4단계) | N1~N5(5단계) |
과목구분변경 | <문자/어휘><청해><문법/독해> | <언어지식(문자/어휘/문법)><독해><청해> |
출제기준 | 어휘, 한자, 문법 항목 리스트를 게재한 출제기준 출판 | 출제기준은 출판하지 않으나, 시험의 구성과 문제의 목표, 시험 문제의 예 등을 제공 |
시험문제 | 전년도 시험문제를 다음해 4월에 출판 | 실제로 출제된 시험문제 중 시험 1회분의 문제 수에 상당하는 문제 예집을 일정기간마다 발행 |
합격기준 | 1급: 280점/400점(70%) 2급~4급: 240/400점(60%)의 종합득점의 득점률로 판정 | 종합득점과 과목별 득점의 두 가지로 판정, 종합득점과 과목별 득점에 관한 합격 기준점을 설정, 2010년에 발표 예정. |
新JLPT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전 세계의 수험자를 대상으로 한 국제 공인 시험으로, 기존 JLPT 시험의 출제기준과 유형을 개정하여 2010년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新일본어능력시험(新JLPT)을 말합니다. 일본어 시험강좌에 등록하시는 모든 수강생에게는 2010년 새롭게 개정되는 JLPT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전 세계 최초로 담은 <新 JLPT 공략법>을 드립니다.
新JLPT 새로운 인정기준
※N3-N5의 경우, 1교시에 언어지식(문자,어휘)과 언어지식(문법), 독해가 연결실시
레벨 | 과목별 시간 | 인정기준 | |
유형별 | 시간 | ||
N1 | 언어지식(문자.어휘.문법) 독해 | 110분 | 기존시험 1급보다 다소 높은 레벨까지 측정 읽기-논리적으로 약간 복잡하고 추상도가 높은 문장등을 읽고,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면, 다양한 화재의 글을 읽고, 이야기의 흐름이나 상세한 표현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. 듣기-자연스러운 속도의 체계적 내용의 회화나 뉴스, 강의를 듣고, 내용의 흐름 및 등장인물의 관계나 내용의 논리구성 등을 상세히 이해하거나,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. |
청해 | 60분 | ||
계 | 170분 | ||
N2 | 언어지식(문자.어휘.문법) 독해 | 105분 | 기존시험의 2급과 거의 같은 레벨 읽기-신문이나 잡지의 기사나 해설 평이한 평론 등, 논지가 명쾌한 문장을 읽고 문장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, 일반적인 화제에 관한 글을 읽고, 이야기의 흐름이나 표현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. 듣기-자연스러운 속도의 체계적 내용의 회화나 뉴스를 듣고, 내용의 흐름 및 등장인물의 관계를 이해하거나,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. |
청해 | 50분 | ||
계 | 155분 | ||
N3 | 언어지식(문자,어휘) | 105분 | 기존시험의 2급과 3급사이에 해당하는 레벨(신설) 읽기-일상적인 화제에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문장을 읽고 이해할 수 있으며, 신문의 기사제목등에서 정보의 개요를 파악할 수 있다. 일상적인 장면에서 난이도가 약간 높은 문장을 바꿔 제시하며 요지를 이해할 수 있다. 듣기-자연스러운 속도의 체계적 내용의 회화를 듣고, 이야기의 구체적인 내용을 등장인물의 관계등과 함께 거의 이해할 수 있다. |
언어지식(문법),독해 | 105분 | ||
청해 | 40분 | ||
계 | 145분 | ||
N4 | 언어지식(문자.어휘) | 95분 | 기존시험 3급과 거의 같은 레벨 읽기-기본적인 어휘나 한자로 쓰여진,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화제의 문장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. 듣기-일상적인 장면에서 다소 느린 속도의 회화라면 거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. |
언어지식(문법).독해 | 95분 | ||
청해 | 35분 | ||
계 | 130분 | ||
N5 | 언어지식(문자.어휘) | 80분 | 기존시험 4급과 거의 같은 레벨 읽기-히라가나나 가타가나,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한자로 쓰여진 정형화된 어구나, 문장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. 듣기-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장면에서 느리고 짧은 회화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. |
언어지식(문법).독해 | 80분 | ||
청해 | 30분 | ||
계 | 110분 |